본문 바로가기

리뷰

창경궁 제대로 돌아보기-#5[숭문당&함인정] 명정전, 문정전을 돌아보고 바로 뒤에 붙어 있는 숭문당과 함인정을 돌아봅니다. 한쪽에 거의 붙어 있어 관람하기에는 좋더라구요..ㅎㅎ 숭문당과 함인정에 대해 간단하게 살펴보면... 숭문당은 임금이 신하들과 경연을 열어 정사와 학문을 논하던 곳이내요. 창경궁 창건 당시에는 없었고 광해군 때 창경궁을 재건하면서 세운것으로 추정되며, 1830년(순조 30) 소실된 것이 그해 가을에 재건되었답니다. 경사진 터를 교묘하게 이용하여 뒤에는 낮은 주초석을 사용하고 앞에는 높은 주초석을 세워 누(樓)처럼 되었으며, 영조의 친필 현판이 지금가지 남아 있답니다. 함인정은 원래 인양전(仁陽殿)이 있던 터에 1633년(인조 11) 건립된 정자로 남향에다 앞마당이 넓게 트여 있어 왕이 신하들을 만나고 경연을 하는 곳으로 이용했답.. 더보기
창경궁 제대로 돌아보기-#4[문정전 일원] 명정전을 돌아보고 뒷쪽을 돌아 남쪽에 위치하고 있는 문정전쪽으로 이동하내요. 바로 옆에 붙어있지만.. 다른 궁에서는 보지 못했던 독특한 배치라 좀 이상하기까지 하내요. 명정전이 동향이라지만 정전이 명정전과 등을 돌리고 있다니..ㅎㅎ 암튼 가까이 있어 관람하기에는 편한듯 합니다.. 명정전을 돌아보기 전에 간단하게 명정전에 대해 살펴보고 시작하겠습니다. 문정전은 왕의 공식 집무실인 편전(便殿)으로, 동향인 명정전과 달리 남향 건물이내요. 정전인 명정전과 등을 돌리고 있는데 이런 특이한 배치구조는 다른 궁궐에서는 찾아보기 어렵죠. 편전이지만 왕실의 신주를 모신 혼전(魂殿)으로 쓰인 경우도 있답니다. 영조의 첫째 왕비인 정성왕후의 철종의 비인 철인왕후의 혼전으로 사용한 것이 그 예이내요. 문정전 일원은 일제강점.. 더보기
창경궁 제대로 돌아보기-#3[명정전 일원] 홍화문, 옥천교.. 행각들을 돌아보고.. 정전인 명정전을 돌아보기 위해 명정문앞에 섰내요..^^ 다른 궁과 달리 창경궁의 명정전이 규모가 작아서인지 근엄하고 위엄있는 분위기가 아닌.. 왠지 부드러운 느낌이라 정이 더 가는 듯 합니다. 오래된 명정전과는 달리 조정을 감싸고 있는 행각들은 복원되어서인지 깔끔하더라구요. 암튼 본격적으로 명정전 일원을 돌아보기 전에 명정전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고 시작하겠습니다... 명정전은 창경궁의 으뜸 전각으로 즉위식, 신하들의 하례, 과거시험, 궁중연회 등의 공식적 행사를 치렀던 정전(正殿)이내요. 하지만 명정전은 인조가 반정 직후 정전으로 사용하기 전까지는 정사를 위한 공간으로는 거의 활용되지 않은 듯 합니다. 가끔 과거시험이 열리기도 하고, 중종대에는 노인들에게 경로잔치.. 더보기
창경궁 제대로 돌아보기-#2[홍화문 일원] 창덕궁을 돌아보고.. 창덕궁에서 바로 창경궁으로 건너왔기에.. 통명전,환경전 명정전을 가로질러 홍화문까지 바로 달렸내요..^^ 뭐...무료 해설 출발시간을 맞추기 위해서이기도 하구요.. 홍화문을 통과해 외부에서 홍화문 풍경 한컷하고..바라봅니다. 다른 궁과는 다른 묘한 친근감이 느껴지는...... 되돌아 들어와 옥천교앞에서 해설사분과 함께 관람을 시작합니다. 경복궁이나 창덕궁 관람때에는 인원이 꽤 많던데.. 창경궁에서는 몇 명밖에 없어 속닥한 분위기내요..^^ 해설사분의 해설을 들으며 본격적인 관람을 시작하기 전에 창경궁 홍화문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고 시작하겠습니다. 창경궁 홍화문은... 창경궁의 중심부분이 동향이기 때문에 정문인 홍화문도 동쪽에 세워졌내요. 1484년(성종 15)에 창건, 임진왜란으로 .. 더보기
창경궁 제대로 돌아보기-#1[창경궁 소개] 창경궁하면 젤 먼저 무엇이 떠오르시나요..?? 전 창경원.. 동물원,식물원.. 일제 강점기때의 훼손.... 이런 사연많은 창경궁을 이제서야 찾아 돌아보다니.. 참..쩝쩝.. 암튼 창경궁 제대로 돌아보기 리뷰를 포스팅하기전에... 왠지 창경궁은 한단계를 더 거쳐야할듯 하내요.. 그래서 옛날 창경궁의 모습을 인터넷상에서 찾아 보니... 아래와 같은 풍경들이였내요. 1958년 창경원앞 풍경(인터넷 자료) 1959년 이승만 대통령 84회 생일 기념 창경원 무료개방 인파 풍경(인터넷 자료) 1963년 창경원 내부 풍경(인터넷 자료) 1965년 창경원앞 풍경(인터넷자료) 1969년 4월 창경원 개원 60주년 벚꽃축제 인파(인터넷 자료) 보터장과 케이블카(인터넷자료) 겨울철엔 호수 스케이트장(인터넷자료) 1973년 .. 더보기
창덕궁 제대로 돌아보기-#13 [궐내각사 & 구 선원전 일원] 낙선재를 돌아보는 것으로 해설사분과 함께한 관람을 끝내고... 혼자서 다시 역순으로 창덕궁을 돌아보내요..^^ 성정각..대조전...희정당...선정전...인정전... 인정문을 통해 다시 진선문으로..금천교까지 되돌아와서리.. 마지막으로 궐내각사와 구 선원전 일원을 돌아보기로 합니다. 유교에서는 인간의 죽음을 육체와 혼백의 분리로 해석하는데, 왕이나 왕비도 죽으면 육체는 시신이 되어 재궁(梓宮, 관)에 담기고, 하늘과 땅으로 흗어지는 혼백을 위해 신주(神主, 위패)가 만들어 지내요. 재궁은 빈전에 모셨다가 5개월 후에 산릉(무덤)에 묻으며, 신주는 혼전에 모셨다가 삼년상을 지낸 후 종묘로 옮겨 모시내요. 또한 죽은 왕을 모시기 위해 생전에 그려 둔 초상화인 어진을 선원전에 모신답니다. 산릉은 육신에 대해, .. 더보기
창덕궁 제대로 돌아보기-#12 [낙선재 일원] 성정각을 돌아보고..창덕궁 후원 입구을 지나 창덕궁의 젤 동측에 위치한 낙선재 일원으로 이동합니다.. 낙선재..일전에 읽었던 '덕혜옹주'에서 몇번 접한 이름이라 왠지 낯설지 않게 느껴지는 듯 하내요. 낙선재는 창덕궁 후원의 연경당처럼 단청을 하지 않은 소박한 모습이라.. 둘러보다 보면 궁궐에 있는 건지 깜빡할 정도라니..ㅋㅋ 암튼 낙선재 일원을 돌아보기 전에 낙선재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고 시작하겠습니다. 조선 24대 임금인 헌종은 김재청의 딸을 경빈으로 맞이하여 1847년(헌종 13)에 낙선재를, 이듬해에 석복헌 등을 지어 수강재와 나란히 두었답니다. 이렇듯 낙선재는 세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서쪽의 낙선재는 헌종의 서재 겸 사랑채였고, 그 동쪽의 낙선재와 건립시기가 비슷한 석복헌은 왕비인 경빈의 .. 더보기
핸드메이드 이어폰 [Sudio]를 아시나요~ 어느날 방명록에 남겨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날라온 잼난 글...ㅎㅎ 그렇게 자주 확인하지 않는 방명록인지라 몇일이 지난 듯 한데.. 번역기로 번역한듯 .... 이상한 의미로 이어지는 한글 문장....^^ 암튼 그래도 나에게 이런 일이...ㅋㅋ 나름 여러군데 카메라 리뷰 신청을 했지만.. 그리 좋은 결과는 없었는지라.. 제품리뷰와는 영 인연이 없는 듯 해서 미련을 버렸는데...쩝쩝.. 근데 이런 글... 과연 믿을수 있을까..?? 하지만 '저스틴'이라는 왠지 정이 가는 발신자의 이름과 관련 제품의 홈페이지까지.. 일단 믿고 답장을 보내기로 결정... 근데 뭐.. 답장을 보낼려고 하니.. 부족한 영어 실력이..ㅋㅋ 어쩔수 없이 번역기의 힘을 빌려.. 어렵사리 회신...ㅎㅎ 답장 보내자 마자 바로 다음날 회신.. 더보기
창덕궁 제대로 돌아보기-#11 [성정각 일원] 대조전을 돌아보고.. 희정당 동측편으로 돌아나오니... 바로 옆 성정각이.. 이곳이 세자가 생활했던 곳이라고 하니.. 유아 사망률이 높았던 시절이라 세자는 완전 금지옥엽같이 대우하지 않았을까 싶내요..ㅎㅎ 암튼 4살 정도에 세자가 되어 10살 전후하여 성인이 되는 관례를 치르고 이어서 혼례를 치렸으며, 하루 세차례 교육과 독서, 틈틈이 활쏘기와 말타기 등 문무를 겸비한 수련을 쌓았다고 하내요. 세자가 떠오르는 태양과 같아서 궐 안 동쪽에 거처를 마련하여 동궁(東宮)이라 했다는데.. 세자의 일상이 숨쉬던 동궁인 성정각 일원을 돌아보기전에 간단하게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성정각은 세자의 교육장이었으나, 일제 강점기에는 내의원으로 쓰기도 했답니다. 성정각은 단층이지만 동쪽에 직각으로 꺽인 2층이 누(樓)가 붙.. 더보기
창덕궁 제대로 돌아보기-#10 [대조전 일원] 대조전 출입문인 선평문앞에서 희정당내부를 돌아보고.. 바로 뒤돌아서.. 선평문을 통해 대조전으로 들어서내요. 대조전 일원을 돌아보기 전에 간단하게 살펴보고 시작하겠습니다. 대조전은 창덕궁의 정식 침전(寢殿)으로 왕비의 생활공간이내요. 원래는 대조전 주변을 수많은 부속건물들이 에워싸고 있었는데, 그 가운데 흥복헌(興福軒)은 1910년 마지막 어전회의를 열어 경술국치가 결정되었던 비극의 현장입니다. 1917년 불타 없어진 터에 1920년에 경복궁의 침전인 교태전을 옮겨 지어 현재의 대조전이 되었답니다. 이건하면서 창덕궁의 상황에 맞추어 재구성했으며 대조전을 중심으로 양옆 날개채와 뒤편의 경훈각 등이 내부에서 서로 통하도록 복도와 행각으로 연결되어 있내요. 원래 궁궐의 복합적인 구성을 잘 보여주는 거의 유일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