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300

[제주] 사라봉 야경 - 비행기궤적을 함께... ** ** @제주 사라봉 _ 2016.6.7 더보기
창경궁 제대로 돌아보기-#9[춘당지 일원] 집복헌과 영춘헌을 돌아보고... 바로 옆 돌계단을 올라 춘당지로 이동하내요..^^ 이동하는 길은 한적하니.. 산길을 걷는 느낌이라 넘 좋더라구요^^ 그 길에서 만난 풍기대와 해시계, 성종대왕태실비도 돌아봅니다. 풍기대는 풍향을 관측하기 위해 깃발을 꽂아두는 받침돌로 이 풍기대를 이용하여 바람을 관측한 것은 조선 세종 때 측우기의 발명과 더불어 제도화된 것으로 보이내요. 글고 그 옆에 해시계.. 네발 달린 반구형의 솥처럼 생겼기 때문에 앙부라는 이름이 붙어 앙구일구라고 불리내요. 이 또한 세종의 명으로 정초, 정인지 등이 고전을 연구하고, 이천과 장영실이 공역을 감독하여 1438년 만들었다고 합니다. 역사적에서 봤던 풍기대와 해시계를 돌아보고.. 계속 이동하여 길옆에 있는 성종대왕태실비을 찾아봅니다. 우리.. 더보기
창경궁 제대로 돌아보기-#5[숭문당&함인정] 명정전, 문정전을 돌아보고 바로 뒤에 붙어 있는 숭문당과 함인정을 돌아봅니다. 한쪽에 거의 붙어 있어 관람하기에는 좋더라구요..ㅎㅎ 숭문당과 함인정에 대해 간단하게 살펴보면... 숭문당은 임금이 신하들과 경연을 열어 정사와 학문을 논하던 곳이내요. 창경궁 창건 당시에는 없었고 광해군 때 창경궁을 재건하면서 세운것으로 추정되며, 1830년(순조 30) 소실된 것이 그해 가을에 재건되었답니다. 경사진 터를 교묘하게 이용하여 뒤에는 낮은 주초석을 사용하고 앞에는 높은 주초석을 세워 누(樓)처럼 되었으며, 영조의 친필 현판이 지금가지 남아 있답니다. 함인정은 원래 인양전(仁陽殿)이 있던 터에 1633년(인조 11) 건립된 정자로 남향에다 앞마당이 넓게 트여 있어 왕이 신하들을 만나고 경연을 하는 곳으로 이용했답.. 더보기
창경궁 제대로 돌아보기-#3[명정전 일원] 홍화문, 옥천교.. 행각들을 돌아보고.. 정전인 명정전을 돌아보기 위해 명정문앞에 섰내요..^^ 다른 궁과 달리 창경궁의 명정전이 규모가 작아서인지 근엄하고 위엄있는 분위기가 아닌.. 왠지 부드러운 느낌이라 정이 더 가는 듯 합니다. 오래된 명정전과는 달리 조정을 감싸고 있는 행각들은 복원되어서인지 깔끔하더라구요. 암튼 본격적으로 명정전 일원을 돌아보기 전에 명정전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고 시작하겠습니다... 명정전은 창경궁의 으뜸 전각으로 즉위식, 신하들의 하례, 과거시험, 궁중연회 등의 공식적 행사를 치렀던 정전(正殿)이내요. 하지만 명정전은 인조가 반정 직후 정전으로 사용하기 전까지는 정사를 위한 공간으로는 거의 활용되지 않은 듯 합니다. 가끔 과거시험이 열리기도 하고, 중종대에는 노인들에게 경로잔치.. 더보기
창덕궁 제대로 돌아보기-#7 [인정전 일원] 금천교를 지나 진선문을 통과하니.. 다시 넓다란 마당이... 이 공간은 뭐하는 공간인지 모르겠내요. 진선문을 지나 만나는 인정전 외행각 마당은 서쪽 진선문 쪽이 넓고 동쪽 숙장문 쪽이 좁은 사다리꼴인데.. 이는 숙장문 바로 뒤에 산맥이 있어 지형을 최대한 살리면서 공간을 넓게 쓰기 위해 사다리꼴로 만든 것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태종은 이 마당이 반듯하지 못하다 하여 당시 건축감독을 하옥시킨일도 있었답니다. 창덕궁 건축 감독을 맡은 박자청은 고려말 내시 출신으로 조선개국 후에 궁궐 문을 굳게 지킨 일로 태조의 눈에 들어 왕을 경호하다가 창덕궁의 건축담당을 맡았으며, 제릉, 건원릉, 경복궁 수리, 청계천 준설, 경회루, 무악이궁, 현릉 등 많은 공사를 훙륭하게 수행하였고, 이후 공조판서, 우군도총제부판사의 .. 더보기
종묘 제대로 돌아보기-#3[영녕전] 정전에 이어 영녕전을 돌아봅니다. 왕실 신주를 모신 별묘인 영녕전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고 시작하겠습니다.. 영녕전은 1421년(세종 3)에 정종의 신주를 정전에 모시며 정전의 신실이 부족하자 정전에 모시고 있던 신주를 다른 곳에 옮겨 모시기 위해 새로 지은 별묘내요. 세종 원년에 이르러 2대 왕인 정종이 승하하고 그의 신위를 종묘에 모실 때가 되자 이미 종묘에 모셔져 있는 태조의 4대조와 태조의 신위, 그리고 정종의 신위를 어떻게 모셔야하는 문제가 거론되게 되내요. 정종의 신위를 종묘에 새로 모시게 되면 목조의 신위는 정전에 모실 수 없게 되지 때문이죠. 이때 의논을 거듭하여, "그 신주를 묻어 버린다는 것은 정말 차마할 수 없는 일이며, 또한 간직할 만한 곳도 없다."고 의견을 모으고, 중국 송나라에서.. 더보기
종묘 제대로 돌아보기-#2[정전] 향대청과 재궁을 돌아보고... 담으로 찾은 곳이 정전.. 정전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 시작하겠습니다. 정전은 왕과 왕비의 승하 후 궁궐에서 삼년상을 치른 다음에 그 신주를 옮겨 와 모시는 건물로 종묘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대요. 정전이 마당으로 들어가는 문은 세 곳에 있는데 남문은 신문(神門)으로, 혼백이 드나드는 문이고, 동문으로는 제례 때 제관이 출입하고 서문으로 악공, 춤을 추는 일무원, 종사원이 출입했답니다. 정전에는 조선을 건국한 태조, 재위 중인 왕의 4대 조상, 역대 왕 중에서 특히 공덕이 큰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셨내요. 정전은 내부에 모실 신주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몇 차례에 걸쳐 옆으로 증축하여 늘렸는대요. 건물 앞에 있는 가로 109m, 세로 69m나 되는 넓은 월대는 정전의 품위와 장.. 더보기
덕수궁 제대로 돌아보기-#5[석조전일원] 고종황제가 커피를 마셨던 정관헌을 돌아보고.. 덕수궁의 키포인트인 석조전으로 향하내요..^^ 고궁에 생꿍맞게 왠 서양식 건물이...ㅋ 덕수궁을 찾아볼 생각을 한것도 사실은 석조전 특별관람이 이유였지만.. 암튼.. 궁궐의 곡선과 나무자재에 대비되는 직선과 석재... 묘한 조화로움... 암튼 신기할 따름이라는 생각 뿐이내요..^^ 그럼 일단 석조전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고.. 주변을 돌아볼까 합니다. ++ 근대국가의 상징인 석조전은 고종황제가 침전 겸 편전으로 사용하기 위해 1900년부터 1910년에 걸쳐 지은 서양식 석조건물입니다. 경운궁에 서양식 건축물들을 건립한 것은 대한제국 근대화를 위한 정책의 일환이었내요. 석조전은 고종[광무황제]의 승낙을 얻어 대한제국 해관 총세무사 영국인 브라운(J.M. Brow.. 더보기
덕수궁 제대로 돌아보기-#2[중화전] 대한문과 금천교를 지나 길을 따라 쭈욱 따라 들어가니.. 진행방향에서 오른편으로 중화문과 중화전을 만나게 되더군요. 경복궁의 광화문을 거쳐 근정전으로 들어설때 까정.. 흥례문과 영제교..근정문 등.. 몇군데를 거쳐 도착했지 싶은데.. 덕수궁은 좀 다른 듯...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원래 정문이 중화문 남쪽으로 있었는데.. 현재의 대한문쪽으로 도로가 건설되고 환구단이 건립되는 등 궁궐의 동측이 새로운 도심이 되자 실질적인 정문이 되었다고 하는 군요.. 암튼 그래도.. 형태상으로는 좀 이상한듯..ㅋ 중화문앞에서 사진 한컷 담고.. 본격적으로 중화전을 돌아보기 전에 중화전에 대해 살펴보고 시작할까 합니다. ++ 중화전은 경운궁의 정전(법전)으로서 왕의 즉위식, 신하들의 하례, 외국 사진의 접견 등 중요한 국.. 더보기
DDP 야경 야경까지 담을 계획은 아니였는데... LED 장미꽃 덕분에 야경까지 함 도전해 봤내요^^ @DDP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