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 썸네일형 리스트형 DOOR-#46 작지만... 왠지.. 끌리는... @복산동 더보기 DOOR-#45 여러가지 모양의 방범창... 요즘과는 또다른 매력이... @복산동 더보기 DOOR-#44 역시... 창은 햇살을.. 오롯이.. 받아들이는 위치에 있어야....^^ @복산동 더보기 덕수궁 제대로 돌아보기-#5[석조전일원] 고종황제가 커피를 마셨던 정관헌을 돌아보고.. 덕수궁의 키포인트인 석조전으로 향하내요..^^ 고궁에 생꿍맞게 왠 서양식 건물이...ㅋ 덕수궁을 찾아볼 생각을 한것도 사실은 석조전 특별관람이 이유였지만.. 암튼.. 궁궐의 곡선과 나무자재에 대비되는 직선과 석재... 묘한 조화로움... 암튼 신기할 따름이라는 생각 뿐이내요..^^ 그럼 일단 석조전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고.. 주변을 돌아볼까 합니다. ++ 근대국가의 상징인 석조전은 고종황제가 침전 겸 편전으로 사용하기 위해 1900년부터 1910년에 걸쳐 지은 서양식 석조건물입니다. 경운궁에 서양식 건축물들을 건립한 것은 대한제국 근대화를 위한 정책의 일환이었내요. 석조전은 고종[광무황제]의 승낙을 얻어 대한제국 해관 총세무사 영국인 브라운(J.M. Brow.. 더보기 덕수궁 제대로 돌아보기-#3[즉조당일원&함녕전&덕홍전] 덕수궁 정전인 중화전을 돌아보고... 바로 뒷편에 있는 석어당, 즉조당, 준명당을 돌아보내요. 공식적인 행사를 치렀던 궁궐의 으뜸전각 뒷편에는 왕이 업무를 보던 편전이 있을것이니... 준명당과 즉조당은 돌아볼수 있었지만 아쉽게도 석어당은 공사중인지라... 담 기회로.. 돌아보기전에 먼저 즉조당 일원에 대해 알아보고 시작해 봅니다... ++ 즉조당 일원은 임진왜란때 선조가 임시로 거처했던 곳으로 덕수궁의 모태가 된 곳이내요. 1897년 고종이 러시아공사관에서 경운궁으로 환어한 뒤 1902년 중화전을 건립하기 전까지 정전으로 사용된 건물이내요. 1904년 화재로 즉조당이 소실되자 고종은 이를 매우 안타까워 했는데 인조 즉위 이후 서까래 하나 바꾸지 않고 소중하게 보존해왔기 때문이라내요. 현재 즉조당에는 고종.. 더보기 DOOR-#42 무심코 지나치다 발견한 묘한 풍경.. 처마밑에 있는 걸 보니.. 조심스럽게 봉창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암튼 이런 골목길을 다녀도 이런 창은 만나기가.. 근데 과연 어떤 창이였을까요..^^ @복산동 더보기 덕수궁 제대로 돌아보기-#2[중화전] 대한문과 금천교를 지나 길을 따라 쭈욱 따라 들어가니.. 진행방향에서 오른편으로 중화문과 중화전을 만나게 되더군요. 경복궁의 광화문을 거쳐 근정전으로 들어설때 까정.. 흥례문과 영제교..근정문 등.. 몇군데를 거쳐 도착했지 싶은데.. 덕수궁은 좀 다른 듯...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원래 정문이 중화문 남쪽으로 있었는데.. 현재의 대한문쪽으로 도로가 건설되고 환구단이 건립되는 등 궁궐의 동측이 새로운 도심이 되자 실질적인 정문이 되었다고 하는 군요.. 암튼 그래도.. 형태상으로는 좀 이상한듯..ㅋ 중화문앞에서 사진 한컷 담고.. 본격적으로 중화전을 돌아보기 전에 중화전에 대해 살펴보고 시작할까 합니다. ++ 중화전은 경운궁의 정전(법전)으로서 왕의 즉위식, 신하들의 하례, 외국 사진의 접견 등 중요한 국.. 더보기 DOOR-#41 그냥 지나칠수 없는 인상적인 문이였내요..^^ @복산동 더보기 DOOR-#40 여러가지 방법으로... 세상과 조우하는 듯,... @복산동 더보기 DDP 야경 야경까지 담을 계획은 아니였는데... LED 장미꽃 덕분에 야경까지 함 도전해 봤내요^^ @DDP 더보기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142 다음